AWS 기술 블로그

Category: HAQM Route 53

HAQM CloudFront를 활용한 다중 리전 액티브-액티브 아키텍처의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구현

이 글은 AWS Networking & Content Delivery Blog에 게시된 Using latency-based routing with HAQM CloudFront for a multi-Region active-active architecture by Artem Lovan, Nikhil Bhagat, Mohan Pasappulatti, and Tulip Gupta Pahuja을 한국어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이 게시물은 AWS에서 HAQM Route 53의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과 HAQM CloudFront를 사용하여 다중 리전 액티브-액티브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위한 네트워크 계층 구성 방법을 안내하여 […]

굿리치의 온프레미스 DNS에서 HAQM Route 53 마이그레이션, 그 여정의 기록

굿리치는 국내 대표적인 법인보험대리점 (General Agency) 로 보험 판매와 인슈어테크 (보험+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입니다. 고객이 보험을 분석하고 상담받을 수 있는 서비스인 보험 관리 플랫폼, 종합 금융 컨설팅, 보험 비교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의 사업을 영위중이며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수의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굿리치는 클라우드로의 전면적인 마이그레이션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IT 인프라의 […]

AWS Global Accelerator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하기

이 글은 AWS Networking & Content Delivery Blog에 게시된 Use AWS Global Accelerator to improve application performance 글을 한국어로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및 API 환경에서 모든 고객에게 빠르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액세스를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기존 구현 방식에서는 글로벌 인터넷 인프라의 복잡성으로 인한 지연 및 고르지 못한 성능으로 인해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

AWS PrivateLink를 통해 다른 리전의 HAQM Bedrock을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개요 AWS PrivateLink는 VPC Endpoint를 통해 트래픽이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고 AWS 내부망을 통해 AWS의 서비스에 더 빠르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면서도 안정적이고 고속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rivate VPC Endpoint를 통해 서비스에 연결하려면 Public 서비스 주소 대신 Private 주소를 사용해야 하므로 관련된 라이브러리를 수정하거나 설정을 변경하는 […]

HAQM Aurora Blue/Green Deployment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변경 사전 테스트하기

이 글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변경 사전 테스트의 중요성과 사전 테스트를 위한 아키텍처를 소개합니다. 특히 HAQM Aurora의 Blue/Green Deployment를 핵심으로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패턴과 HAQM Route53의 트래픽 흐름(Traffic Flow)과 트래픽 정책(Traffic Policy)을 활용한 아키텍처를 다룹니다. HAQM Aurora는 MySQL 및 PostgreSQL과 호환되는 완전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며,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유지보수 작업(백업 및 복구, 패치 등)은 […]

AWS Data Migration Service(DMS)를 활용하여 HAQM Aurora PostgreSQL 블루/그린 배포 환경 생성하기

데이터베이스 운영 안정성 및 다운타임은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운영 시 발생하는 파라미터 변경 또는 데이터베이스 버전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다운타임이 발생하며 이에 소요되는 시간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데이터베이스가 단일 소스의 원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아키텍쳐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운영 관리 측면에서 발생하는 이런 다운타임은 최종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상황에서 블루/그린 환경 […]

HAQM RDS MySQL 블루/그린 배포 환경에서 HAQM Route 53을 활용한 운영환경 읽기 쿼리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때 블루/그린(Blue/Green) 배포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위험과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력적인 옵션입니다. 이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에는 현재 프로덕션 환경, 즉 블루 환경과 스테이징 환경, 즉 그린 환경이라는 두 가지 데이터베이스 환경이 필요합니다. HAQM Aurora와 HAQM Relational Database Service(HAQM RDS) 에서 이런 블루 그린 배포 환경 구성을 위하여 완전 관리형 HAQM RDS […]

HAQM CloudFront 및 Route53 하이브리드 오리진 장애 조치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 가용성 향상시키기

이 글은 AWS Networking & Content Delivery Blog에 게시된 Improve web application availability with CloudFront and Route53 hybrid origin failover by Chakib Sahraoui and Abhinav Bannerjee을 한국어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올해 초, 우리는 HAQM CloudFront와 HAQM Route 53을 활용한 고가용성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세 가지 고급 설계 패턴에 관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CloudFront […]

케이타운포유의 순간적인 스파이크 트래픽 대응을 위한 HAQM Aurora 오토스케일링 전략

케이타운포유는 급성장 중인 K-Pop 및 한류 상품을 글로벌 판매하는 이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2002년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200개국, 6개 언어로 500만 회원, 5,000여 개 팬클럽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케이타운포유는 B2B에서 B2C로 전환 후 2021년 매출액 2,000억을 돌파하며 짧은 기간에 15배에 달하는 성장을 하였습니다. 케이타운포유는 사용자서비스, 운영시스템, 물류시스템(WMS) 등의 시스템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든 […]

Figure-3. Read-local-write-partitioned-pattern-for-multi-site-active-active-DR-strategy

AWS 기반 재해복구(DR) 아키텍처, 4부: 액티브/액티브 멀티 사이트

  이 글은  AWS Architecture Blog에 게시된 Disaster Recovery (DR) Architecture on AWS, Part IV: Multi-site Active/Active by Seth Eliot 을 한국어로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AWS 블로그의 재해복구 연재 글에서 네 가지 재해복구 전략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중 세가지 전략, 백업/복구,  파이럿 라이트와 웜 스탠바이 액티브/패시브 전략의 구성을 예제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워크로드와 사용자 요청을 두 […]